이전페이지

@ 모든 회원분들께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사람인 멘토링매치 서비스 기획 및 PM 멘토 잠만보입니다.

프로_잠만보 2024.05.08 작성
안녕하세요, 사람인 멘토링매치에서 50회 이상 상담 및 포폴 피드백을 진행한 서비스 기획 및 PM 멘토 잠만보입니다.
사람인 커뮤니티에 기획 쪽 커리어로 고민하고 계신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1:1 멘토링에 앞서 가벼운 궁금증들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선에서 대댓글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우선 저를 간략히 소개하자면,
저는 현재 사람인에서 프로젝트 매니징(PM)과 앱/웹 서비스 기획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과거 교보문고와 클래스101 재직 경험이 있고 이직 때마다 스카웃 제안을 받았습니다.
또한 당근, 토스, 넥슨, 하나은행, LG전자 등 주요 기업들의 1차, 2차, 최종 잡인터뷰 경험도 있습니다. 
그리고 저 외에도 후배들의 자소서나 포트폴리오를 첨삭하여 합격률을 올린 경험도 꽤 많고
멘토링매치를 통해 50회 이상 커리어에 대한 상담이나 포트폴리오 피드백을 진행해왔습니다.



이런 경험을 기반으로 서비스 기획이나 프로젝트 매니징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들려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그 외에 처음 이 직군에 몸담았을 때 어려웠던 부분, 그걸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것들도 함께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더불어 제가 다닌 기업들에 대한 객관적인 이야기들이나 제가 여태 거쳐온 다양한 영역
이를테면 2년 간의 창업 기간과 교보문고 이커머스 MD 생활, 콘텐츠 기획자에 대한 이야기도 준비되어있습니다.

[대화주제]
공개된 댓글로 질문을 남기기 어려운 경우는 멘토링을 통해 1:1 문의도 가능합니다.
참고로 저는 아래 주제들로 대화를 진행하는 편이에요.
- PM과 서비스기획자로 일하는 방법 (+포폴 작성 팁)
- 포트폴리오 준비 및 작성 노하우
- 당근, 토스, 넥슨, 하나은행, LG전자 면접 후기
- 콘텐츠 기획자로 일하는 방식
- 직무 전환 시 준비할 것들
- 전반적인 회사 생활
- 창업 경험
- 재직했던 회사들의 특징

별도로 멘토링을 신청하실 분들은 아래 프로필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댓글 16
  • tayBKQEx6IlgqcJ 2일 전
    언제나 응원합니다.
  • jo3pIjm8RdiDHhL 3일 전
    경영지원쪽 관심이 있는데, 따기 좋은 자격증은 무엇이 잇을까요?
  • WnQD1N1AKRFPweW 2024.05.18 작성
    좋은 회사에 다니셨네요,, 앞으로 계획이 궁금해요
    대댓글이 삭제되었습니다
    프로_잠만보 2024.05.18 작성
    현재 하고 있는 기획과 프로젝트 매니징 업무를 꾸준히 이어갈 생각입니다. 동시에 데이터 분석은 별도로 공부하며 분석력을 키울 생각이고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AI에 지배(?)당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자 해당 분야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지고 있을 계획입니다. 현재 좋은 리더를 만나 즐겁게 일하고 있어 당장 이직을 생각하진 않지만, 조금 더 주도적으로 일할 수 있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면 마지막으로 한번 더 이직은 고려하고 있습니다.
  • hW2KqWB4ZqsPWJ6 2024.05.18 작성
    서비스 기획 워라밸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프로_잠만보 2024.05.18 작성
    회사 바이 회사, 부서 바이 부서인 것 같아요. 처음 서비스 기획 직군에 몸 담았을 땐 서비스가 배포될 때 마다 밤새서 사무실을 지켜야 된다는 농담 섞인 얘기에 겁도 많이 먹었고, IT 산업이나 스타트업은 야근이 필수라는 인식에 두렵기도 했었는데요. 여태 제가 거쳐온 곳들은 야근을 강요한 곳은 한 곳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5시 전에 퇴근하고 기준 근로 시간을 넘기는 일은 전혀 없고요. 다만 이직 제안이 와서 면접을 보다보면 규모가 작고 당장 성장이 급한 스타트업들의 경우 넌지시 야근이 필요하다는 식으로 말씀을 하시긴 하더라고요. 질문자님이 지원한 기업에 재직 중인 분들을 통해 조직 분위기를 미리 한번 체크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 1yC7Y1i8saGkjcl 2024.05.18 작성
    전공을 살려서 취업하신건가요?
    프로_잠만보 2024.05.18 작성
    제가 거쳐온 세가지 직무 MD, 콘텐츠 기획, 서비스 기획 셋 모두 제 전공과는 상관 없는 케이스였습니다. 저는 경영학 그 중에서도 투자/재무 쪽을 심화전공한 케이스인데요. MD의 경우 매출을 관리한다는 점에서 아주 조금 전공이 겹치는 느낌이 있지만 그 외 콘텐츠 기획이나 서비스 기획에서는 전공 관련된 것들이 크게 도움이 된 것 같진 않아요. (물론 통계학이나 마케팅 등 실무를 담당하며 조금씩 도움이 되는 부분도 있긴 하지만) 취업과 이직 과정에서 그부분이 활용되진 않았다고 생각해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요즘은 단순히 어떤 전공을 했느냐 보다는 해당 직군에서 실무 경험을 훨씬 중요하게 보더라고요. 취업준비생한테 너무 많은 것을 바라는 상황이지만, 우선 어쩔 수 없는 상황이니까요. 희망하는 직군이나 직무에서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역량과 관련된 경험들을 많이 쌓아두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인턴, 사이드프로젝트, 대외활동 등을 통해서요.
    프로_잠만보 2024.05.18 작성
    조금 더 구체적으로 예시를 들면, 저는 대학 전공 및 학과 생활 중에는 콘텐츠를 만드는 경험은 전혀 없었지만, 따로 영상 편집에 관심이 있어 국비 교육을 들으며 편집 프로그램을 익힌다거나, 그렇게 익힌 툴을 활용하여 개인적인 기획 영상을 만들어본다거나, 지인들을 대상으로 영화 소식을 알려주는 메일을 주기적으로 보내본다거나 하는 전공 외 경험들로 콘텐츠 기획 직군 지원 시 어필을 했었습니다.
님에게 답글 다는 중
님에게 대댓글 다는 중
공유하기
https://m.saramin.co.kr/company-review-qst-and-ans/detail-page?qust_idx=73676 URL을 길게 누르거나 터치하면 복사할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