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기업소개
대한민국 사회과학부문 최초의 싱크탱크
기업소개
요약
- 설립일
- 1972년 6월 설립
- 기업형태
- 사원수
- 284명 (2016년)
- 매출액
- 937억 5,774만원 (2015년)
기업소개
- 업종
- 경제 및 경영학 연구개발업
- 대표자명
- 조동철
- 사업내용
- 경제정책,정책수단 연구/출판
걸어온 길
2010. 07 IMF 아시아 컨퍼런스「아시아21: 미래경제의 선도적 주체
2010. 05 ASEM 포럼「2010: 녹색성장과 중소기업
2010. 02 지식재산과 경제발전: 이슈 및 정책적 시사점 국제회의
2010. 02 KDI-IMF 국제회의 "세계경제의 재건"
2009. 11 국제개발협력센터(CID) 설립
2009. 10 ASEM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Infrastructure」국제회의
2009. 10 서비스산업 선진화와 한국경제: 이슈 및 정책적 시사점」국제회의
2009. 09 그린코리아 2009 국제회의
2009. 06 World Bank 개발경제 컨퍼런스 동아시아의 교훈과 세계 경제위기
2009. 03 현오석 13대 원장 취임
2009. 03 사회적 기업 2009 국제회의 2009
2008. 11 공동체자본주의 심포지엄 2008: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
2008. 08 건국 60주년 기념 대한민국 경제 60년 학술 세미나
2008. 07 중국의 부상과 외환위기 이후 한국 및 동아시아의 성장 및 구조변화」국제회의
2008. 07 지역개발정책의 국제적 경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국제회의
2007. 11 외환위기 극복과 재도약의 10년 공개토론회
2007. 08 기업경영권 시장: 각국의 경험과 한국의 과제 국제회의
2007. 07 -설계를 중심으로」국제회의
2007. 07 규제산업의 경쟁정책: 각 산업의 감독당국과 경쟁당국 간 관계에 대한 제도-
2007. 04 혁신형 중소기업의 창업 및 성장지원을 위한 금융정책 국제회의
2006. 12 21세기 국가 장기 발전비전과 전략: 접근방식과 주요의제 국제회의
2006. 09 비전 2030, 미래의 성장과 복지를 위한 준비 토론회
2006. 09 FTA와 경제구조 변화: 외국의 경험과 시사점 국제회의
2006. 07 BaselⅡ 도입의 영향과 정책대응 국제회의
2006. 05 기업환경개선을 위한 규제개혁 국제회의
2005. 11 원장 현정택 취임
2005. 06 개원 34주년 기념 국제회의: 주거안정과 주택정책, 한국의 경험과 미래
2005. 01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가 민간투자지원센터를 흡수하여 법적 부설기관으로 발족
2005. 01 2004 연차보고서(국·영문) 발간
2005. 01 부설 공공투자관리센터 발족
2005. 01 국토연구원 민간투자지원센터 통합(법률 제7386호)
2005. 01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 개정법률(법률 제7386호) 공포,시행
2005. 01 -함께 상의합니다
2005. 01 2005~2009년 국가재정운용계획 12개 部門別 공개토론회: 5년간 나라살림, 국민과-
2004. 04 개원 33주년 기념 국제회의: 동북아 경제의 산업 역동성과 경쟁력
2004. 02 -참여정부의 비전과 전략
2004. 02 참여정부 출범 1주년 기념 국제회의: 동북아의 변화하는 리더십하에서의-
2004. 02 제1회 전국고교생 경제경시대회
2004. 02 참여정부 경제사회정책의 비전과 과제: 역동과 기회의 한국 발간
2004. 01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에 관한 연구
2003. 01 고령화에 대비한 경제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2002. 12 북한경제 발전전략의 모색 발간
2002. 08 원장 김중수 취임
2001. 12 국내·외 기업구조조정 시장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국제세미나
2001. 12 Vision 2011: 열린 세상, 유연한 경제 발간
2001. 03 원장 강봉균 취임
2000. 12 IMF 3년, 성과와 반성 및 향후 선택에 관한 국제세미나
2000. 01 공공투자관리센터 발족
1999. 12 IMF 2년 한국의 경제위기와 구조개혁 평가에 관한 국제포럼
1999. 12 새천년의 패러다임:지식경제기반 발전전략 발간
1999. 11 국제대학원대학을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로 명칭 변경
1999. 02 국민의 정부 출범 1주년 기념 국제회의: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1999. 02 DJnomics: A New Foundation for the Korean Economy 발간
1999. 01 -및 육성에 관한 법률
1999. 01 연구원 설립 근거법 변경 : 한국개발연구원법 -> 정부출연연구기관 설립 운영-
1999. 01 월간『북한경제리뷰』창간
1998. 09 부설기관 명칭변경(국민경제교육연구소 -> 경제정보센터)
1998. 08 국민과 함께 내일을 연다: 국민의 정부 경제청사진 발간
1998. 05 금융기업의 구조조정과 한국산업의 미래상 발간
1998. 04 경제위기 극복과 구조조정을 위한 종합대책 발간
1998. 03 원장 이진순 취임
1998. 01 부설 국제대학원 개원
1997. 12 금융개혁 종합보고서 발간
1997. 09 열린 시장경제로 가기 위한 국가과제 발간
1997. 01 금융개혁위원회 사무국 설치,운영
1996. 01 정부혁신: 선진국의 전략과 교훈 발간
1995. 12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관련 한국개발연구원법(법률 제5047호) 개정
1995. 03 원장 차동세 취임
1995. 01 한국경제 반세기 역사적 평가와 21세기 비전 발간
1994. 01 법 경제연구센터 설치 운영
1994. 01 한국 경제·사회의 성숙화 과정에 관한 연구 제2차 HIID 공동 Project
1993. 05 원장 황인정 취임
1993. 01 신경제 5개년계획 작성 지원
1992. 03 원장 송희연 취임
1991. 12 부설 국민경제교육연구소 발족
1991. 12 국민경제제도연구원 흡수.통합(법률 제4446호)
1991. 09 남북한 경제완계 발전을 위한 기본구상 발간
1991. 01 공정거래 법·제도 및 정책에 관한 연구
1991. 01 금융의 자율화·개방화 관련 대응책 연구
1990. 12 월간 나라경제 창간
1990. 01 북한경제연구센터 설치 운영
1990. 01 제7차 경제사회발5개년계획 수립을 위한 계획 작성 및 주요정책에 관한 정책협의회
1989. 01 경제선진화를 위한 기본구상 발간
1988. 10 세계 계량경제학자들의 모임 UN LINK Meeting 개최
1988. 01 KDI에‘대통령 경제구조조정 자문회의’사무국 설치·운영
1987. 10 우리나라 사회지표체계 개선 발간
1987. 06 원장 구본호 취임
1986. 10 원장 박영철 취임
1986. 01 제6차 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정책협의회
1986. 01 국민연금 도입방안 연구
1985. 12 장기인력수급전망과 대응과제 발간
1985. 09 2000연을 향한 국가장기발전구상 11개 부문별 정책협의회 개최 및 종합보고서 발간
1984. 03 88올림픽의 경제성 평가와 효과분석 발간
1983. 11 원장 안승철 취임
1983. 06 국제연수건물 신축개관
1983. 04 월간 해외경제동향 주요지표 창간
1983. 03 월간 국내경제동향 주요지표 창간
1982. 07 관세정책의 현황과 개편방안 발간
1982. 05 미 워싱턴에 한국경제센터(KEI) 개소
1982. 05 계간 KDI 경제전망 창간
1982. 01 원장 김기환 취임
1982. 01 남북한 경제협력 및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1982. 01 농가소득 증대방안에 관한 연구
1982. 01 수입자유화 및 관세개편에 관한 연구
1982. 01 국제교류협력센터(IDEP, International Development Exchange Program) 설치,운영
1981. 01 제5차 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작성을 위한 2차 정책협의회
1980. 01 공기업 경영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1980. 01 제5차 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작성을 위한 1차 정책협의회
1975. 01 -개발을 위한 연구
1975. 01 미국 하버드대학교 부설 국제개발연구소(HIID)와 공동 추진 사회경제지표의-
1975. 01 -자금지원으로 KDI에‘인구사무국’설치,운영
1975. 01 유엔인구활동기금(UNFPA), 캐나다 국제개발연구센터(IDRC)와 미국 인구협회(PC)-
1974. 12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기본방향에 관한 정책협의회
1974. 12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전략 발간
1972. 07 개관 기념 국제심포지엄 : 계량모형,생산성,산업정책,국제경제 부문
1972. 07 홍릉 연구단지내 신축개관
1971. 03 원장 김만제 취임
1971. 03 한국개발연구원 설립
2010. 05 ASEM 포럼「2010: 녹색성장과 중소기업
2010. 02 지식재산과 경제발전: 이슈 및 정책적 시사점 국제회의
2010. 02 KDI-IMF 국제회의 "세계경제의 재건"
2009. 11 국제개발협력센터(CID) 설립
2009. 10 ASEM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Infrastructure」국제회의
2009. 10 서비스산업 선진화와 한국경제: 이슈 및 정책적 시사점」국제회의
2009. 09 그린코리아 2009 국제회의
2009. 06 World Bank 개발경제 컨퍼런스 동아시아의 교훈과 세계 경제위기
2009. 03 현오석 13대 원장 취임
2009. 03 사회적 기업 2009 국제회의 2009
2008. 11 공동체자본주의 심포지엄 2008: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
2008. 08 건국 60주년 기념 대한민국 경제 60년 학술 세미나
2008. 07 중국의 부상과 외환위기 이후 한국 및 동아시아의 성장 및 구조변화」국제회의
2008. 07 지역개발정책의 국제적 경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국제회의
2007. 11 외환위기 극복과 재도약의 10년 공개토론회
2007. 08 기업경영권 시장: 각국의 경험과 한국의 과제 국제회의
2007. 07 -설계를 중심으로」국제회의
2007. 07 규제산업의 경쟁정책: 각 산업의 감독당국과 경쟁당국 간 관계에 대한 제도-
2007. 04 혁신형 중소기업의 창업 및 성장지원을 위한 금융정책 국제회의
2006. 12 21세기 국가 장기 발전비전과 전략: 접근방식과 주요의제 국제회의
2006. 09 비전 2030, 미래의 성장과 복지를 위한 준비 토론회
2006. 09 FTA와 경제구조 변화: 외국의 경험과 시사점 국제회의
2006. 07 BaselⅡ 도입의 영향과 정책대응 국제회의
2006. 05 기업환경개선을 위한 규제개혁 국제회의
2005. 11 원장 현정택 취임
2005. 06 개원 34주년 기념 국제회의: 주거안정과 주택정책, 한국의 경험과 미래
2005. 01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가 민간투자지원센터를 흡수하여 법적 부설기관으로 발족
2005. 01 2004 연차보고서(국·영문) 발간
2005. 01 부설 공공투자관리센터 발족
2005. 01 국토연구원 민간투자지원센터 통합(법률 제7386호)
2005. 01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 개정법률(법률 제7386호) 공포,시행
2005. 01 -함께 상의합니다
2005. 01 2005~2009년 국가재정운용계획 12개 部門別 공개토론회: 5년간 나라살림, 국민과-
2004. 04 개원 33주년 기념 국제회의: 동북아 경제의 산업 역동성과 경쟁력
2004. 02 -참여정부의 비전과 전략
2004. 02 참여정부 출범 1주년 기념 국제회의: 동북아의 변화하는 리더십하에서의-
2004. 02 제1회 전국고교생 경제경시대회
2004. 02 참여정부 경제사회정책의 비전과 과제: 역동과 기회의 한국 발간
2004. 01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에 관한 연구
2003. 01 고령화에 대비한 경제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2002. 12 북한경제 발전전략의 모색 발간
2002. 08 원장 김중수 취임
2001. 12 국내·외 기업구조조정 시장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국제세미나
2001. 12 Vision 2011: 열린 세상, 유연한 경제 발간
2001. 03 원장 강봉균 취임
2000. 12 IMF 3년, 성과와 반성 및 향후 선택에 관한 국제세미나
2000. 01 공공투자관리센터 발족
1999. 12 IMF 2년 한국의 경제위기와 구조개혁 평가에 관한 국제포럼
1999. 12 새천년의 패러다임:지식경제기반 발전전략 발간
1999. 11 국제대학원대학을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로 명칭 변경
1999. 02 국민의 정부 출범 1주년 기념 국제회의: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1999. 02 DJnomics: A New Foundation for the Korean Economy 발간
1999. 01 -및 육성에 관한 법률
1999. 01 연구원 설립 근거법 변경 : 한국개발연구원법 -> 정부출연연구기관 설립 운영-
1999. 01 월간『북한경제리뷰』창간
1998. 09 부설기관 명칭변경(국민경제교육연구소 -> 경제정보센터)
1998. 08 국민과 함께 내일을 연다: 국민의 정부 경제청사진 발간
1998. 05 금융기업의 구조조정과 한국산업의 미래상 발간
1998. 04 경제위기 극복과 구조조정을 위한 종합대책 발간
1998. 03 원장 이진순 취임
1998. 01 부설 국제대학원 개원
1997. 12 금융개혁 종합보고서 발간
1997. 09 열린 시장경제로 가기 위한 국가과제 발간
1997. 01 금융개혁위원회 사무국 설치,운영
1996. 01 정부혁신: 선진국의 전략과 교훈 발간
1995. 12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관련 한국개발연구원법(법률 제5047호) 개정
1995. 03 원장 차동세 취임
1995. 01 한국경제 반세기 역사적 평가와 21세기 비전 발간
1994. 01 법 경제연구센터 설치 운영
1994. 01 한국 경제·사회의 성숙화 과정에 관한 연구 제2차 HIID 공동 Project
1993. 05 원장 황인정 취임
1993. 01 신경제 5개년계획 작성 지원
1992. 03 원장 송희연 취임
1991. 12 부설 국민경제교육연구소 발족
1991. 12 국민경제제도연구원 흡수.통합(법률 제4446호)
1991. 09 남북한 경제완계 발전을 위한 기본구상 발간
1991. 01 공정거래 법·제도 및 정책에 관한 연구
1991. 01 금융의 자율화·개방화 관련 대응책 연구
1990. 12 월간 나라경제 창간
1990. 01 북한경제연구센터 설치 운영
1990. 01 제7차 경제사회발5개년계획 수립을 위한 계획 작성 및 주요정책에 관한 정책협의회
1989. 01 경제선진화를 위한 기본구상 발간
1988. 10 세계 계량경제학자들의 모임 UN LINK Meeting 개최
1988. 01 KDI에‘대통령 경제구조조정 자문회의’사무국 설치·운영
1987. 10 우리나라 사회지표체계 개선 발간
1987. 06 원장 구본호 취임
1986. 10 원장 박영철 취임
1986. 01 제6차 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정책협의회
1986. 01 국민연금 도입방안 연구
1985. 12 장기인력수급전망과 대응과제 발간
1985. 09 2000연을 향한 국가장기발전구상 11개 부문별 정책협의회 개최 및 종합보고서 발간
1984. 03 88올림픽의 경제성 평가와 효과분석 발간
1983. 11 원장 안승철 취임
1983. 06 국제연수건물 신축개관
1983. 04 월간 해외경제동향 주요지표 창간
1983. 03 월간 국내경제동향 주요지표 창간
1982. 07 관세정책의 현황과 개편방안 발간
1982. 05 미 워싱턴에 한국경제센터(KEI) 개소
1982. 05 계간 KDI 경제전망 창간
1982. 01 원장 김기환 취임
1982. 01 남북한 경제협력 및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1982. 01 농가소득 증대방안에 관한 연구
1982. 01 수입자유화 및 관세개편에 관한 연구
1982. 01 국제교류협력센터(IDEP, International Development Exchange Program) 설치,운영
1981. 01 제5차 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작성을 위한 2차 정책협의회
1980. 01 공기업 경영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1980. 01 제5차 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작성을 위한 1차 정책협의회
1975. 01 -개발을 위한 연구
1975. 01 미국 하버드대학교 부설 국제개발연구소(HIID)와 공동 추진 사회경제지표의-
1975. 01 -자금지원으로 KDI에‘인구사무국’설치,운영
1975. 01 유엔인구활동기금(UNFPA), 캐나다 국제개발연구센터(IDRC)와 미국 인구협회(PC)-
1974. 12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기본방향에 관한 정책협의회
1974. 12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전략 발간
1972. 07 개관 기념 국제심포지엄 : 계량모형,생산성,산업정책,국제경제 부문
1972. 07 홍릉 연구단지내 신축개관
1971. 03 원장 김만제 취임
1971. 03 한국개발연구원 설립
복리후생
한국개발연구원 기업은
임직원들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
- 지원금/보험
- 안정된 생활을 지원합니다.
- 건강검진, 체력단련실운영, 복지카드/포인트
- 급여제도
- 직원들의 열정에 보답하고 싶습니다.
- 상여금, 장기근속자 포상, 우수사원포상, 퇴직금, 성과급, 가족수당, 4대 보험
- 교육/생활
- 직원들의 자기계발을 존중합니다!
- 직무능력향상교육, 도서구입비지원, 교육비 지원, 구내식당(사원식당), 사내동호회 운영
- 근무 환경
- 편안하게 일할 수 있는 최선의 환경을 제공합니다.
- 사내 어린이집 운영, 휴게실, 수면실, 회의실, 공기청정기, 카페테리아, 전용 사옥, 사내 정원, 장애인 화장실, 장애인 전용주차장, 장애인 엘리베이터, 비상경보장치, 사원증, 사내도서관, 사무용품 지급, 안마실/안마의자
- 조직문화
- 직원 중심의 조직문화를 만들어갑니다.
- 노조/노사협의회, 자유로운 연차사용
- 출퇴근
- 직원들의 편의를 위한 출퇴근과 다양한 근무 제도를 제공해요!
- 통근버스 운행, 주차장제공, 주 52시간제 준수
- 리프레시
- 최고의 복지는 휴가죠!
- 연차, 반차, 창립일휴무, 근로자의 날 휴무, 산전 후 휴가, 육아휴직, 시간제 연차
사업부문 및 직원구성
출처 : 국민연금
직원 수
이 기업에 입사해야 하는 이유
- 통근버스 운영 기업
- 통근버스 운영 기업 모음입니다. 인증기업 보기
- 사내 어린이집 운영
- 사내 어린이집 운영 기업 모음입니다. 인증기업 보기
- 슬기로운 육아휴직기업
- 육아휴직 관련 복리후생 우수 기업 인증기업 보기
- 구내식당 복지 기업!
- '구내식당' 복지를 제공하는 기업정보 및 채용공고 인증기업 보기
- 휴식시간 필요해요
- 회사에 작은 쉼표, 휴게실/배려룸 제공 기업 인증기업 보기
- 사내 카페 보유 기업
- 사내 카페테리아가 있는 기업 모음입니다. 인증기업 보기
- 코시국에 건강챙겨요!
- 건강보다 중요한 건 없어요! '건강검진' 지원 기업 인증기업 보기
- 노동조합有 기업 모음
- 노조/노사협의회가 있는 기업 모음 인증기업 보기
- 가족친화기업
- 여성가족부에서 가족친화기업으로 인증된 기업입니다.
국무조정실의 계열사

사내 근무환경 1 / 3
청사 전경
오시는 길
기업정보는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준으로 동일하게 관리되며, NICE평가정보, 이크레더블, 금융감독원(DART), 크레딧데이터(국민연금), 기업회원이 직접 입력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