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페이지

취업뉴스

구직자 68%, “코로나19 발병으로 무기력증 겪어”… 절반 이상 생활고

 

 

전세계적인 전염병으로 2년여의 고립된 생활은 취업 준비생들에게 가장 위기로 찾아왔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 구직자 1,528명에게코로나19 이후 무기력증 대해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인 68%어떤 시도를 해도 상황을 바꿀 없을 같은 무기력증에 시달린다 답했다.

무기력증이 취업 활동에 영향을 미친 1위로는취업 의지가 점점 사라짐’(55.3%, 복수응답)이었다. 이어적극적인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음’(44.6%), ‘자신감 결여로 입사지원 빈도수가 적어짐’(43.5%), ‘장기간 집안에만 은둔하고 있음’(39.3%), ‘하고 싶은 직무나, 목표 기업이 없어짐’(29.3%) 사회적 고립의 위험이 높은 영향들이 다수였다.

무기력증을 겪는다는 응답자 중에 취업포기를 이들도 5 1(18.9%) 꼴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62.6% 현재수입이 없다 밝혔다. 코로나19 인해 경제 전반이 얼어붙으면서, 구직활동을 하면서 아르바이트 등을 통한 고정 수입을 얻었던 연결고리 조차 어려워진 것이다. 실제 구직자의 63.3% 현재구직활동을 하면서 생활고를 겪고 있다 답했다.

무기력증을 겪고 있지만, 그래도 대다수는(86.3%) 취업 활동 자체는 꾸준히 이어갔다. 채용 공고 검색 서류지원 등을 포함해 구직활동을 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2.5시간이었다.

최근 구직활동을 하면서 겪는 가장 어려움은채용 공고가 줄어들어 지원 기회가 적어짐’(57.5%, 복수응답)이었다. 계속해서취업 경쟁이 심화됨’(46.1%), ‘알바 일상 생활비를 얻을 있는 수익 활동 없음’(36.9%),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채용 취소’(29.4%) 등이 있었다.

장기적으로 취포자(취업포기자) 야기 시키는 무기력증을 해소하기 위해서는사회적 정책 인식변화’(58.1%) 개인의 노력보다 중요하다고 보고 있었다.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최소 수익을 얻을 있는 안전장치 마련’(55.1%, 복수응답)이었다. 뒤이어신입지원자의 능력을 사용할 있는 현실적인 취업제도 지원’(49.7%) 꼽아 최근 수시채용이 확장되면서 경력직 우선 고용 분위기도 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