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프로필

기본 정보

xyHWwO7FYjWI5WS

남의 활동

전체 6
신입
이직 고민 조언부탁드립니다.

현재 서울에 상경해서 모 외국계회사 IT 헬프데스크로 일하다가,한곳은 고향 집근처 외국계 제조업 IT specialist 직무 (계정세팅, PC 유지보수, 서버 관리, SAP 관리 등.. 연봉 3400 + 15% 성과 + 120 복지)에 합격했고,또다른 한곳은 서울에 유명 외국계 하드웨어 벤더사 자사 제품 테크니컬 서포트 직무(연봉 3900 + 5%성과 + 복지 120)에 합격했습니다.첫번째 회사는 원래 제가 IT manager, IT specialist 직무로 가려고 했던거라 전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지 아는데,두번째 회사는 제가 지원해서 한게 아닌 면접 한번 보자고 먼저 연락이 와서 한번 본게 합격을 했습니다.연봉 및 네임밸류는 벤더사가 더 좋은데, 테크니컬 서포트가 가만 들어보면 고객 서비스(CS) 직무인것 같아 커리어 발전을 할 수 있을지, 고객 상담 하다가 스트레스 받지 않을지 걱정이 되어 이렇게 조언을 얻고자 글을 썼습니다.원래 가려고했던 IT specialist 직무로 갈지, 아니면 유명 벤더사 테크니컬 서포터 직무로 갈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댓글달기
상세 페이지로 이동
이직
연봉 낮춰 연고지로 이직 고민

현재 영끌 연봉 5000만원으로 서울에서 계약직 IT 헬프데스크 하고 있습니다.어차피 이직은 해야하긴하는데, 연고지 근처 반도체 관련 회사의 전산관리팀에 오퍼가 들어왔습니다. 거기는 영끌 3900정도입니다.회사에서 통근버스, 점심 저녁 제공도해주고, 워라밸도 괜찮고, 안정적으로 다닐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같이 일할 팀원들도 모난것없이 괜찮아 보였습니다.근데, 연고지로 이직을 하지만, 연봉 1000~1100만원 낮춰서 이직을 해도 괜찮은지 고민이고, 이직을 하게 되면 그 회사의 연봉 상승률이 극악이라 그냥 저냥 10년차고 20년차고 적은 돈 받고 다닐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어떤 결정을 내리는 것이 좋은지 조언부탁드립니다.

댓글달기
상세 페이지로 이동
신입
농약 화학 계면활성제 연구원 커리어 고민

이번에 시골 중소기업 농약 계면활성제 연구원으로 연봉 3400에 합격을 했는데요,상업화가 가능한 농약용 계면활성제 개발 및 고객사 미팅, 출장이 있다고 했습니다.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를 통해서 동종업계 또는 비슷한 유기화학 연구원 직무로 이직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또, 중소기업 기업부설연구소에서 제대로 업무를 배울 수 있을지, 잡무만 하다가 끝나는건지 고민이 됩니다.참고로 저는 학사졸이고, 학점은 별로 좋은편이 아닙니다.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댓글1
상세 페이지로 이동
커리어
외국계 전산관리 계약직 고민입니다.

현직장 비IT 회사에서 사내 레거시 시스템 유지보수(SM) 업무로 정규직 영끌 4000에 근무중입니다.현회사에서는 범용기술이 아닌 넥.사.크,,로 라는... 희안한 툴로 개발, 유지보수를 합니다...이번에 외국계 대기업(비IT)에서 계약직 포지션으로 IT 서포트(PC유지보수, OA 유지보수 등 전산관리) 직무로 오퍼를 받았습니다.처음엔 너무 단순업무 같아 오퍼를 거절하려했는데 영끌 4700 제시해서 현재 고민중입니다.둘다 집근처이고, 계약직과 단순 전산관리라는 점이 좀 걸리는데 급여가 현 직장보다 700만원이 더 많아 고민입니다.사실 제가 외국계로 언젠가는 옮길 생각은 있었거든요, 개발을 그렇게 잘하는것같지도 않구요.어떤 선택을 하는게 더 나을지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댓글2
상세 페이지로 이동
잡담
외국계 대기업 파견계약 VS 중견 정규직

현직장은중견회사 전산개발직으로 사내 웹 시스템을 유지보수, 개발을 합니다.그런데, 오래된 회사다 보니, 너무 노후화되어버린 시스템을 유지보수하려니, 경력에 도움이 될 지도 의문입니다.얘기를 들어보니, 이미 이전에 신입 몇 명이 추노를 했고, 인사팀, 저희 부서팀장님도 계속 퇴사 안할거지? 집은 (근처에) 구했니? 등계속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질문을 합니다.급여는 3570 이고, 복지가 괜찮은 편이지만, 서울이라 월세가 나갑니다.면접 제의온 회사는외국계 대기업인데요, 전산 인프라 관리입니다.개발보다는 인프라 관리이지만, 글로벌 표준 시스템, 영어 이메일 작성을 경험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좋을 것 같습니다.급여는 3400 정도이고, 서울 위치이고, 복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다만, 파견계약직 형태로 1년 1년 연장해서 다니게 되는 거라 고민이됩니다.외국계는 파견계약직 형태가 많다고 하는데, 직무는 마음에 들지만, 고용형태가 고민입니다.저는 현재 32살 인데, 개인적으로는 외국계에서 커리어를 쌓고 싶은데, 외국계 파견계약직으로 가도 될지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댓글2
상세 페이지로 이동
잡담
중소 SI vs 중견 SM 고민

현직장은제조업 중소기업인데요, 회사에서 자체 개발(ERP, MES, 웹 등) 및 전산관리를 하고있습니다.ASP.NET하고 MSSQL로 만들구요, 전산팀장님이 친철히 가르쳐줘서 배울점은 많이 있습니다.회사사람들하고도 친하구요, 집근처입니다.다만, 중소기업이라는 점과 제가 특출나게 개발을 잘하는것 또한 아니라서요..합격한 직장은서울 소재 유명 중견기업인데요, 거기는 ERP, 사내 웹 시스템을 SM하는 직무입니다.오래된 레거시 시스템이 많고, 더 큰 솔루션 경험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개발 교육도 시켜주고, 연봉도 +1000 이고, 복지가 다양합니다.다만, 옛 기술이라는 단점이 있고, 개발실력을 늘리기 힘든 환경, 서울에 월세방을 구해야하는 입장입니다.부모님은 중견기업으로 이직하라고 하는데, 사실 현직장 또한 이미 적응했고, 사람들과의 관계도 만족도가 있어서 아쉽습니다...타이틀보고 중견으로 이직해도 될까요..? 아님 현직장에서 좀 더 경력을 쌓아볼까요?조언부탁드립니다.

댓글4
상세 페이지로 이동
공유하기
https://m.saramin.co.kr/company-review-qst-and-ans/detail-page?qust_idx= URL을 길게 누르거나 터치하면 복사할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