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재활용사촌복지조합기업소개

기업소개
요약
- 기업형태
- 사원수
- 37명 (2022년)
- 매출액
- 38억 2,339만원 (2021년)
- 대표자명
- 이복진
기업소개
- 업종
- 속옷 및 잠옷 제조업
- 대표자명
- 이복진
- 사업내용
- 군용내의,전투화끈,토시형목도리 제조
걸어온 길
2017. 06 장병 동내의 및 목도리 생산 납품
2015. 08 개선동내의 납품.
2014. 03 표창장: 국세청장
2013. 01 개선동내의 부대시험 중간 평가: 대체로 양호
2012. 12 개선동내의(신제품) 1,400착 육군본부 부대시험
2012. 11 개선동내의 부대시험평가(2012.11.5~2013.2.28)
2012. 03 표창장: 노원세무서
2012. 02 표창장: 방위사업청
2011. 10 개선 동내의 7차에 걸친 품평회 가짐.(2011.10~2012.11)
2011. 08 동내의 품질개선위하여 3차에 걸친 품평회를 가짐
2010. 05 동내의 품질개선에 따른 편직기 71대 교체, 소요자금 8억
2006. 10 편직기 71대,미싱14대 교체구입.소요자금10억(규격변경으로 인하여 편직기 전체 교체,미싱일부교체)
2005. 03 표창장: 부총리겸 재정경제부장관
2004. 10 모범성실 납세업체 수상: 국세청장
2002. 06 국민훈장 동백장 수상
2002. 02 표창장 : 국방부조달본부장(동내의개선)
2001. 03 표창장: 납세성실업체, 서울지방국세청장
1989. 10 감사패:국방부조달본부장
1988. 06 자매결연: 육군사관학교장 중장 장준익
1982. 04 기계대체(품질개선에 따른 기계시설 재편 봉제공정부문)
1980. 01 감사패: 육군사관학교장
1978. 05 국방부 조달본부 장병동내의 수의계약
1977. 10 감사패: 국방부조달본부
1976. 10 복지공장 증축
1974. 10 대통령 하사금으로 공동 목욕탕 건립
1972. 05 제7회 5.16민족상 수상
1972. 03 국방부 조달본부 군납참여
1969. 06 국무총리표창 : 모범집단촌 선정
1967. 03 주택 20동 건립입주
1964. 09 화랑용사촌 복지조합 설립
1964. 09 중상이자 20세대 정착
2015. 08 개선동내의 납품.
2014. 03 표창장: 국세청장
2013. 01 개선동내의 부대시험 중간 평가: 대체로 양호
2012. 12 개선동내의(신제품) 1,400착 육군본부 부대시험
2012. 11 개선동내의 부대시험평가(2012.11.5~2013.2.28)
2012. 03 표창장: 노원세무서
2012. 02 표창장: 방위사업청
2011. 10 개선 동내의 7차에 걸친 품평회 가짐.(2011.10~2012.11)
2011. 08 동내의 품질개선위하여 3차에 걸친 품평회를 가짐
2010. 05 동내의 품질개선에 따른 편직기 71대 교체, 소요자금 8억
2006. 10 편직기 71대,미싱14대 교체구입.소요자금10억(규격변경으로 인하여 편직기 전체 교체,미싱일부교체)
2005. 03 표창장: 부총리겸 재정경제부장관
2004. 10 모범성실 납세업체 수상: 국세청장
2002. 06 국민훈장 동백장 수상
2002. 02 표창장 : 국방부조달본부장(동내의개선)
2001. 03 표창장: 납세성실업체, 서울지방국세청장
1989. 10 감사패:국방부조달본부장
1988. 06 자매결연: 육군사관학교장 중장 장준익
1982. 04 기계대체(품질개선에 따른 기계시설 재편 봉제공정부문)
1980. 01 감사패: 육군사관학교장
1978. 05 국방부 조달본부 장병동내의 수의계약
1977. 10 감사패: 국방부조달본부
1976. 10 복지공장 증축
1974. 10 대통령 하사금으로 공동 목욕탕 건립
1972. 05 제7회 5.16민족상 수상
1972. 03 국방부 조달본부 군납참여
1969. 06 국무총리표창 : 모범집단촌 선정
1967. 03 주택 20동 건립입주
1964. 09 화랑용사촌 복지조합 설립
1964. 09 중상이자 20세대 정착
사업부문 및 직원구성
출처 : 국민연금
직원 수
오시는 길
- 전화번호
- 02-972-2331
- 주소
- 서울 노원구 화랑로51가길 11-46
기업정보는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준으로 동일하게 관리되며, NICE평가정보, 이크레더블, 금융감독원(DART), 크레딧데이터(국민연금), 기업회원이 직접 입력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