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프로필

기본 정보

nq4wN795LJFYHTQ

남의 활동

전체 2
Q&A @백엔드/서버개발,앱개발,웹개발
디자인 전공자인데 다른 일하다가 개발자의 진로와 디자인에서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 나이에 진로 조언을 구하고고민을 한다는 것이어떤 분에게는 한심하게 보일지 모르겠습니다.결과 만으로 판단하면, 솔직히 저는 그다지 뛰어난 사람은 아닙니다.지극히 평범하거나, 오히려 약한 점을 가진 사람입니다.수능 시험을 잘봐서 일류대학을 진학하거나,남다른 퍼포먼스를 보여서 눈에 띄는 인물은 아니기 때문입니다.하지만, 10대때부터 누구보다 주어진 환경 안에서열심히 살아왔다고 생각합니다.환경을 뛰어넘을 만큼에 위인은 아니었으나,건강해야 할 20대부터 건강을 잃어 상당 부분 고생하면서스트레스 받을 때 잘 쉬는 방법을 배워가고 있습니다.앞으로 달려나가는 방법에만 익숙했던 어렸을 때와 달리 시간이 상당 부분 해결해주고 있습니다.서론이 너무 길어 죄송합니다.편견보다는 진심이 통하길 바라는 마음에 저에 대한 배경이 조금 필요할 것 같았습니다.전공부터 말씀드리자면, 저는 4년제 수도권 대학의 디자인과를 전공하였습니다.작지만, 전국 디자인 공모전에서 입선한 경험도 있는데요.스트레스와 수면 부족에 취약하여 수학 중에 병으로 심하게 고생했던 것 때문에그 당시 야근이 많다는 디자인 직종에 취업 하는 것을 불안해 했던 부모님 영향으로 (저도 그랬구요.)사무보조와 전산회계 자격증 취득 후 경리 등 다른 직무에서 일했었습니다.하지만 30대 중반을 앞두고 있는 30대 초반인 지금나이 들어서도 계속할 수 있고 외국어와 경력을 쌓아 (2년~3년)해외에서도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직업을 가지고 싶습니다.어릴 때 자유로운 해외살이를 꿈꾸며 영어 만은 놓지 않았던 꿈이 있었는데이대로 포기하기에는 아쉬움이 큽니다.아직 미혼이라 아이나 남편에 대한 책임도 없구요.제가 원하는 직업의 우선도는1. 자유도가 높은 직업 (국내/해외에서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할 수 있음)2. 기술 성격적으로 독립도가 높은 직업 (퇴직 후에 창업할 수 있는 직업)3. 많은 시간을 투자할수록 기술력이 좋아지는 직업1~3번입니다.제가 우선도를 고려하여 생각한 직업은 UI UX디자인, 프론트엔드 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ux리서처입니다.하지만, ux리서처는 외국어를 원어민 급으로 유창하게 구사해야 할 거 같아 1번에는 적합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따라서, 우선도 1~3번을 고려해현재 재직하고 있는 회사의 계약이 종료된 후에 내일배움카드로 재교육받아 시작할 직무를 무엇으로 해야할 지 고민이 됩니다. 조언해주실 수 있으실까요?1. UIUX 디자인2. 프론트엔드 개발자3. 백엔드 개발자4. 그밖에 (추천 직무)광활한 인터넷 바다에서 정확한 정보의 취사선택이 어려워도움이 필요하여 글을 남겨봅니다.귀한 시간 써서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 2
댓글12
상세 페이지로 이동
커리어
최종합격 회사 선택 A vs B

정말 선택이 어렵네요 ....글쓴이 30대 초 구요대기업 경력 2년있구요 (파견직에서 정규직 전환됨 운빨이 커요)각종 인턴, 아르바이트 계약직 경험 있어요나이가 있다 보니 정규직이란 안정성이 구미가 당기지만...제가 다른걸 못보는건 아닌가 싶어서요- a -공공기관(비영리 협회) 정규직연봉 : (식대 포함) 3200 + 상여 600 = 총 3800 (*한달 교통비 최소 20만원 들어감)연봉 상승률 : (잡플래닛 따르면) 1~5% 미만그밖에 + 요인 : 공공기관이라 세금 혜택볼 수 있음- 요인 : 야근 많아서 워라밸 포기하라 했음 / 잡플래닛 평점 1.5~2점편도 1시간 10~20분이라 왕복 3시간인데 야근까지 한다 치면 식대에 저녁 식대도 합쳐야 하는데 식대가 연봉에 포함되어 있데요... B는 재택이다보니 A가 야근에 출퇴근까지 하며 소비하는 시간치면성과급 다 쳐도 b보다 연봉이 낮은거 같은데 제 판단이 맞을까요?세전 금액으로 대략 계산해도 3800-480(식대 연 240만+교통비 240만) = 세전 실 연봉 3,320지방 출장도 가끔 있다하네요.(출장비는 다 지원 받구요)회사 일정상 야근하는 건 야근수당 주긴 합니다- b -파견사소속 대기업 2년 파견계약직연봉 : (식대 포함) 3300 (재택근무 베이스라 교통비 들어갈 일 거의X)연봉 상승률 : (계약기간은 3300에서 변동 없으며, 만약 정규직이 된다면 연 5%)그밖에 + 요인 : 칼퇴, 인지도, 대기업 소속 계약직 또는 정규직 to가 생길 가능성(보장된건 없음), 급부상중인 기업재택근무 편의성, 전공 분야와 밀접한 부서임 / 대기업 잡플래닛 평점은 3점

공감 1
댓글1
상세 페이지로 이동
공유하기
https://m.saramin.co.kr/company-review-qst-and-ans/detail-page?qust_idx= URL을 길게 누르거나 터치하면 복사할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