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프로필

기본 정보

knYgRzYteNo7AN9

남의 활동

전체 2
퇴사
권고사직 안해주는 회사 계약직으로 변경 후 실업급여

다니고 있는 회사가 몇달 뒤 대표자가 바뀔 예정인데 (사업자번호까지 다 바뀔 예정이라고 하는데 확실한지는 모르겠어요) 그때까지 기다려도 다음 대표자가 그대로 저를 고용하겠다고 하면 고용거부가 되서 실업급여를 못받는다고 하더라구요..그런데 저희 회사가 절대 권고사직으로 코드를 안넣어줘서 실업급여는 포기한 상태로 사직서를 제출 했습니다. 대표가 본인이 있을때까지만 일을 해달라고 부탁을 해서 휴가 일주일과 9월말일(정확한날짜 약속함)까지 일하면 실업급여 받을수 있도록 해준다고 했습니다.최대한 대표가 바뀌면서 그만두는 이유로 코드를 맞춰준다고 했는데 안되면 첫 근로계약서 자체를 계약직으로 변경해 계약만료로 퇴사하는 코드로 넣어준다고 해서 그때까지 일해주기로 했는데요,1. 계약서쓴지가 오래 되었는데 정규직에서 계약직으로 계약서 변경이 이후에도 가능한지 2. 따로 녹음은 안해뒀지만 윗 상사나 같이 일하는 직원들은 어떻게 합의가 되었는지 다 알고 있는데 이후 갑자기 실업급여를 못받게되는 문제가 있을지 (혹시나 그렇다면 어떻게 준비를 해야하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ㅜㅠ그동안 한번도 실업급여 관련해서 권고사직 안해주던 회사인데 대표도 곧 그만둘거라 그때까지는 제가 필요해서 문제가 없길 바라는 눈치인데 나중에 제가 바보가 되는건 아닌지 걱정도 되네요 ㅜㅜ

댓글3
상세 페이지로 이동
퇴사
퇴사시 뭐라고 하는게 제일 좋을지 골라주세요ㅜㅜ꼭 봐주세요 부탁드려요

원하던 이직자리에 입사날짜가 정해졌고 입사가 일주일도 남지 않은상태라 급하게 퇴사를 해야하는데현재 일하는 직장은 스케줄 근무 / 인수인계는 대부분 비슷한 일을 하고 있어서 꼭 제가 없어도 되는 상황 / 그러나 돌아가면서 출근을 하기 때문에 없으면 사람이 부족해지는 상황옮기는 직장은 월~금 출근이라 주말은 다 쉽니다ㅜㅜ퇴직금도 그렇고 퇴사처리를 늦게 해줄까 걱정되서 ㅜㅜ1. 솔직하게 괜찮은 회사에 들어갈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언제까지 출근 가능하다 말씀 드리기(이직 후에도 주말에 출근은 가능한 상태라 알바든 무급으로 한달정도 주말 출근하고 도와줄수는 있어요.. 근데 다들 무급으로 도와주는건 바보같다고 하고 돈받기엔 알바로 해야 하는건지 돈은 어떻게 해야 할지도 몰라 막막하긴해요ㅠ 일하는건 괜찮은데ㅜㅜ )2. 사정때문에 (본가가 타지역이라) 타지역으로 급히 가야해서 출근이 어렵다. (이렇게 하면 퇴사처리 늦게 했을 때 이직하는 직장에서 피해가 가는게 없는지도 걱정이네요ㅜ 빠른 퇴사처리 요구를 못하니..)3. 도저히 대표와 맞지 않아서 더이상 근무하고 싶지 않다고 얘기하기 ( 진짜 솔직한 심정이고 대표가 너무 최악이라서 그동안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았거든요ㅠ 당해봐라 싶어서 무단결근이라도 하고싶은데 같이 일하는 직원들이 피해보는게 싫어서 너무 걱정이네요..)대표가 진짜 성격이 이상한사람이라서 (하는 행동이나 노무 문제도 정말 최악) 더 걱정이 많이 됩니다 ㅜㅜ현재 이직할 직장에는 재직중인건 아는데 퇴사문제가 없을거라고 ㅜㅜ 면접때 얘기한 상황입니다. 혹시나 퇴사처리가 늦어질경우 현 이직할 회사에서 입사거부 당할까 마음이 무겁네요..+ 현재 다니고 있는 직장에서 해고나 퇴사문제로 변호사나 관련된 내용을 파일로 다 가지고 있는걸 제가 봐서ㅜㅜ 더 껄끄럽습니다.. 해고도 어떻게든 피해 안가려고 그사람 문제 하나하나 다 모아두고 가스라이팅에 퇴사는 직원들 몇달씩 못그만두게 잡아뒀던걸 직접 봐서요 ㅠ

공감 2
댓글16
상세 페이지로 이동
공유하기
https://m.saramin.co.kr/company-review-qst-and-ans/detail-page?qust_idx= URL을 길게 누르거나 터치하면 복사할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