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대 후반 중소기업 총무팀에서 근무중입니다
말 그대로 잡일도 하고, 청소도 하고, 무엇보다 연차도 없어요..
면접 볼때 내년에는 생길거다 해서 입사했고, 새로들어온 신입이 5인이상 기업인데 연차 달라고 하면 사장님이 윗상사 대신 일 할 사람이 없어서 못준다 라고 당당하게 말해요^^
근데 없을거면 전부 다 없어야하는데 돈 많이 벌어오는 팀은 또 월차를 줘요ㅎ 차별하는게 너무 화가나서 퇴사할때 신고를 할건데.. 직장에 미리 고지하고 신고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익명으로 신고 해보신적 있는지 방법 좀 알려주세요ㅠㅠ
코로나 걸렸을때는 주말 포함 12일 쉬었다고 결근은 무급이라 월급에서 80만원 깠습니다^^ 다 돌려받고 싶은데 도와주세요..
첫 연봉 3000 / 1년 사이에 대리 직급, 연봉 총 600올랐습니다. 연봉 많이 올려줬으니 신고할지 안할지 그게 고민입니다..
11개를 한꺼번에 주냐, 한달에 만근하는거 봐서 1개씩주냐는 기업에 재량입니다.
이에 대한 법적공고는 상시근로자수 5인 이상인 기업은 무조건 적용되야해요. 1년차 15개를 별개로 1년미만도 쉴수있는 월차개념 11개의 휴가가 있습니다.
해당 내용에 대해선 건의하셔도 마땅할 내용인듯 싶네요... 1년동안 쉬지도 못하고 일하라는건가요ㅋㅋㅋ
무엇보다 윗상사는 윗상사고 본인은 본인이죠. 윗분이라고 하시면 윗분 연차 다녀오시고 처리하라고 하세요. 아님 윗분이랑 겹치지 않게만 쉬면 되는거 아닌가요?
그걸 원치않는 회사들은 그래서 연차촉진제를 사용해서 억지로 사용하라고 제촉하지요.
연차촉진을 사용한 기업은 연차수당이나 연차를 이월시켜줄 의무가 없습니다.
왜 연차라고 생각하는지?
1년이 지나야 15개 연차가 생깁니다.
그리고 그 코로나 걸려서 쉬었기때문에 깎인거구요
착각은 하지맙시다.
11개를 한꺼번에 주냐, 한달에 만근하는거 봐서 1개씩주냐는 기업에 재량입니다.
이에 대한 법적공고는 상시근로자수 5인 이상인 기업은 무조건 적용되야해요. 1년차 15개를 별개로 1년미만도 쉴수있는 월차개념 11개의 휴가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확실히 뒷통수 칠거면 서류 다 준비해서 퇴사하고 다음날 바로 노동청 가시면 됩니다.
5인이상인데 연차가 없으니 다 받아내셔야하고요 1년째되는날 총합 26개이고
1년전에 1개씩 월차로 쓰셧으면 15개이겟네요?
노동부 바로 가시면됩니다.
댓글이 삭제되었습니다
댓글 내용은 로그인 후에 확인하실 수 있어요!
앗 혹시 비회원이신가요?? 회원 가입 빠르게하고, 댓글을 확인해보세요~